★~無明속의등불~★/신행길라잡이
재사의 참 뜻-우룡스님
진여향
2009. 1. 19. 15:31
불교에도 재사라는 게 있지 않습니까?
이때 재사라는 게 유교에서 말하는 “제(祭)”자가 아니라 “재(齋)”자인 것이죠?
어떤 것이 맞는 건지요?
재사라고 하는 것이 자자(自恣)에 기인한 것인데
재사라는 걸 귀신이 와서 밥 먹는 것으로 생각하지 말아라,
추모재다.
그 날 모여서 가신 분을 회고하면서
가신 분의 실천은 이렇고 가신 분의 가르침은 이랬다,
나는 그 가르침을 얼마나 지키고 얼마나 실천하려고 애를 썼느냐?
이 대화를 나누는 모임이 재사이지,
꼭 귀신이 밥을 먹으려고 온다고 생각하지 말아라,
가족끼리 모여서 이 분의 실천은 어땠고 이분의 말씀은 어떤 말씀이었다,
그러면 우리는
이 분의 말씀을 얼마나 받아 들여서 얼마나 실천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가,
이걸 추모하고 반성하고 모여서 대화를 나누는 자리가 제사다,
나는 그런 식으로 이야기를 해줘요.
-우룡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