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소사 들어가는 전나무 숲길
이런 길을 걸을때가 바로 절에 가는 묘미
법당에 들어가 모두 같이 기도하고
개인 사찰 순례 때는 들을 수 없는 법당 보살님의 내소사에 관한 설화 소개
임진왜란으로 절이 불타 버려 중건에 노심초사하던 노스님이
하루는 상좌스님을 불러
“법당을 지을 목수가 지금 일주문밖에 오셨을 터이니 가서 모셔오너라”해서
상좌스님이 기쁜 마음으로 나가보니 꾀죄죄하게 생긴 사람 하나가
연장망태를 걸머진 채 문기둥에 기대어 자고 있어서
다소 실망했지만 상좌스님은 목수를 깨워 모셔 왔다.
목수는 다음날부터 재목을 자르기 시작하였는데
삼년이 다 되어도 법당은 짓지 않고
목재를 깍고 다듬는 부재 만드는 일만하는 것이었다.
목수가 하는게 맘에 안든 상좌스님이 그 부재 하나를 몰래 감추었다.
말없이 삼년동안 목재만 깍던 목수가 노스님을 찾아가
"스님 저는 이 법당을 지을 수 없습니다.그만 돌아가겠습니다." 하는 것이었다.
깜짝 놀란 노스님이"아니 이게 웬 말씀이오"하니
"소인이 삼년동안 정성을 다하여 목재를 다듬었는데
하나가 부족하여 법당을 지을수가 없습니다"
하면서 연장을 챙겨 짐을 꾸리기 시작하였다.
옆에서 듣고 있던 상좌스님이 깜짝 놀라
감추었던 부재 하나를 내 놓으며 용서를 빌었는데
목수가
"그것은 이미 부정탄 목재이니 그것은 쓸수가 없습니다" 하니
노스님께서 그럼 그 하나는 빼고 그냥 지으시지요 해서 그냥 지었답니다
그래서 지금도 대웅보전 우측 즉
법당에서 우리가 부처님을 바라보고 서면 왼쪽에 천장 한 칸의 빈자리가 있다.
(내 눈으로 확인)
단청에 대한 설화
법당을 다 지은 목수가 화공을 데려와
단청일을 하는 백일동안 아무도 법당안을 들여다 보지 말도록
단단히 당부하고 단청을 하는데
궁금한 상좌스님이 99일째 되는 날 문틈으로 들여다 보니
이게 웬일인가
화공은 보이지 않고 황금빛 새 한마리가 입에 붓을 물고
날아다니며 단청을 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넋을 놓고 들여다 보고 있는데
황금새는 붓을 떨어 뜨리고 학이 되어 날아 가 버렸다고 합니다
그래서 법당 단청이 하루분 미완성 된 곳이 있답니다
바로 신중단 맨 위에 보면 빈 곳이 있다
(내눈으로 확인)
그 학이 날아가 삼년 동안 머문곳이 지금의 관음전이랍니다
관음전에는 천수천안 관세음보살님이 모셔져 있답니다
저 멀리 산중턱에 있는 관음전
관음전을 참배하고 왔어야 하는데
단체로 갔으니 개인행동 할수도 없고
저곳은 또 언제 가 보나~~~
한참을 바라만 보다가 왔네요
'♥~청향의 수다방~♥ > 山野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천대 & 명실상감한우 (0) | 2010.08.11 |
---|---|
부안 개암사 (0) | 2010.07.23 |
능가산 월명암 (0) | 2010.07.20 |
한라산 등산 (0) | 2009.11.22 |
남국선원 참배 (0) | 200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