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
저는 남편과 아이들을 많이 괴롭혔습니다. 그래서 무척 괴롭습니다.이런 괴로움에서 벗어나려고 불법을 만나 공부하고 수행하고 있는데 잘 되지 않습니다.
남편과 갈등이 생기면 '이건 아닌데..' 하면서도 몸과 마음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끝까지 갑니다.멈추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데도 멈춰지질 않습니다.그럴 때마다 수행도 잘 되질 않습니다.어떤 마음으로 수행을 해야 할까요?
▒ 답
참선한다고 떡하니 앉아 있는 게 수행이냐 하면 그렇지 않습니다.
그게 수행이라면 꿔다놓은 보릿자루가 수행을 제일 잘 합니다.
그럼 절을 많이 한다고 수행이냐? 그건 극기훈련입니다.
절을 한다고 수행이라 할 수 없고, 앉아 있다고 수행이라 할 수 없고
경을 많이 읽는다고 수행이라 할 수 없고, 염불한다고 수행이라 할 수 없습니다.
그 자체는 수행이 아닙니다. 그럼 무엇이 수행인가?
내 마음이 슬플 때, 왜 슬픈가 알아차려서 그 슬픔에서 벗어나는 게 수행입니다.
화가 날 때, 그것에 계속 따라가는 것은 업식에 끌려가는 겁니다.
화가 나는 걸 얼른 알아차려서 그것으로부터 놓여나는 것을 수행이다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데 그걸 놓치면.. 놓쳤다는 걸 알아차리고 다시 하는 걸.. 수행이라 합니다.
수행의 핵심은 현재 자신의 상태를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깨어있는 것입니다.
참회도 자신의 잘못을 알아차리고, 뉘우치고,
다시는 안 해야지 하고 다짐하는 겁니다.
화가 났으면 '어 화가 났구나' 알아차리고, 그 화난 마음의 상태를 지켜보는 것,
그리고 그것이 사라짐을 지켜보는 것,
즉 알아차리고, 지켜보고, 내려놓기.. 이것이 수행입니다.
이렇게 해서 찰나찰나 자신을 안온하게 하는 것을 수행이라고 합니다.
이 상태가 유지되면, 서 있어도 수행이고, 앉아 있어도 수행이고
말을 해도 수행이고, 자도 수행이고, 누워 있어도 수행이고
그래서 행, 주, 좌, 와, 어, 묵, 동, 정이 다 선(禪)이다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농사를 지어도 선이기 때문에 선농일체,
차를 마셔도 선이기 때문에 다선일체.. 이렇게 말합니다.
선을 한다고 앉아 있어도 깨어있지 못하면 선이 아닙니다.
그런데 이 분이 뭐라고 그랬냐 하면
생각에 끌려가서 수행이 잘 안 된다고 그랬는데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서 끌려갈 때 이미 수행이 안 된 것이지,
그것 때문에 절을 못해서 수행이 안 된게 아니다 이 말입니다.
그럼 왜 절을 하느냐?
절을 하는 게 알아차리는 데 도움이 되니까 하는 겁니다.
왜 명상을 하느냐?
명상을 하면 거기에 도움이 되니까..
왜 경전을 공부하느냐?
이치를 알면 거기에 도움이 되니까..
왜 염불을 하느냐?
염불을 하면 거기에 도움이 되니까 하는 겁니다.
염불을 한다고 무조건 도움이 되는 게 아닙니다.
염불을 해도 거기에 도움이 되는 염불을 해야 합니다.
옛날에 어떤 스님이 법화경을 3,000 번이나 읽었습니다.
그런데 북쪽에 어떤 스님이 글자도 몰라 경전도 안 읽고 선지식이라 한다는 소식을 듣고'내가 가서 혼내주겠다' 라는 생각으로 찾아갔습니다.
그래도 선지식이라니 절은 해야하겠고.. 자만심은 꽉 차 있고.. 하다보니
절을 하면서도 이마가 땅에 닿지 않았습니다.
공경심이 없으니 그럴 수밖에요..
이를 보고 큰 스님이 '그대가 절하는 모습을 보니,
필시 꼭 움켜쥐고 있는 게 있는 모양이구나'라고 물으셨습니다.
'예, 제가 법화경을 3,000 번이나 읽었습니다..'
'그럼 그 요지가 뭐냐?' '잘 모르겠습니다.' '그럼 어디 외워보아라'
그 외우는 소릴 듣고 큰 스님께서는 법화경의 요지를 분명하게 말씀하셨습니다.
그제서야 이마가 땅에 닿을 정도로 절을 올리고,
법화경을 불질러 버렸다고 합니다.
법화경에 무슨 죄가 있습니까? 경에 허물이 있는 게 아닙니다.
읽고 안 읽고 그런 문제가 아닙니다.
일어난 일을.. 안 일어 났으면 더 좋았겠지만..
이미 일어난 일을..더 좋게 받아들인다..
넘어지면 배치기해서 다시 일어나듯이.. 탁 전환시키는 것
이게 원리전도몽상.. 잘못된 생각으로부터 멀리 떠나는 것.. 이게 수행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이렇게 괴로워하지 말고,
넘어졌으면 '어 넘어졌구나' 알아차리고
다시 해봐야지 하면서 늘 앞으로 나아가는 태도를 견지해야 합니다.
이게 수행입니다.
'★~無明속의등불~★ > 洗 心 說(법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심과 성급함은 눈을 어둡게 합니다-월호스님 (0) | 2010.10.27 |
---|---|
제가 밖에 나가는 걸 싫어하고 매사에 부정적인 남편<법륜스님> (0) | 2010.10.03 |
성철스님법문 - "불공 좀 드립시다"| (0) | 2010.09.21 |
욕심으로 다닌다면, 교회나 절이나 무슨 차이? <법륜스님> (0) | 2010.09.21 |
‘~때문에’와 ‘~에도 불구하고’-월호스님 (0) | 201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