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법당에 신중단과 칠성단이 함께 있다면, 그 탱화를 보고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중탱화와 칠성탱화의 특징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신중탱화
절마다 약간씩 다를 수는 있는데, 그 형식은 대략 이와 비슷합니다.
일단 갑옷과 투구로 무장하고 무기(금강저)를 든 신장님들이 많이 등장하고요..
가운데 아랫 부분에는 새(봉황)의 깃털 장식 투구를 쓰고, 얼굴이 동그란 분을 크게 묘사 (동진보살, 보안보살)
또 그 윗 부분에는 얼굴이 세 개, 얼굴마다 눈이 세 개, 팔이 여덟 달린, 다소 험상궂은 모양의 신장님 (예적금강)
(※ 예적금강 없이 동진보살만 그려진 경우도 있음)
▒ 칠성탱화
칠성도는 치성광여래의 후불탱화입니다.
가운데에 오른손을 들고 설법하시는 모양의 부처님 한 분을 크게 그리고 (치성광여래 - 북극성의 상징)
그 양 옆으로 일곱 분의 부처님을 다소 작게 그립니다. (칠여래 - 북두칠성의 상징)
그리고 치성광여래 앞에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협시하여 있습니다.
부처님 왼 쪽 --- 일광보살 - 보관에 붉은색 원(태양)이 그려져 있거나, 붉은색 구슬을 들고 있음
부처님 오른 쪽 - 월광보살 - 보관에 흰색 원(달)이 그려져 있거나, 흰색 구슬을 들고 있음
대략 이러한 관점으로 보시면 구분이 될 겁니다.
참고하세요 ~~
그리고, 원래 칠성은 여러 신중(神衆)의 하나였으나
일반 민중의 신앙대상이 되면서 신중탱화에서 칠성탱화로 분화되어졌고
치성광여래는 천재지변을 관장하고 난리(전쟁)와 질병을 다스리며 재앙을 물리칠 뿐만 아니라
특히 자식 낳기를 원하는 사람이 불공을 올리면 그 원을 살펴 들어준다고 합니다.
※ 우리 카페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
든든한 보디가드 - 예적금강, 동진보살 http://cafe.daum.net/santam/IZ0A/23
칠성각 칠성도 -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주재한다는 신앙 http://cafe.daum.net/santam/IZ0A/110
<삼성각>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치성광여래) http://cafe.daum.net/santam/IZ0A/68
'★~無明속의등불~★ > 신행길라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궤합장 (0) | 2011.12.16 |
---|---|
[스크랩] <삼성각>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치성광여래) (0) | 2011.12.01 |
[스크랩] 절에서 물 마시는 곳, <수각>인가 <수곽>인가? (0) | 2011.11.16 |
화가 날때 (0) | 2011.02.02 |
기도는 법당이나 성당에서 하는 것이 아닙니다 (0) | 2010.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