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明속의등불~★/신행길라잡이

[스크랩] <삼성각>산신, 독성(나반존자), 칠성(치성광여래)

진여향 2011. 12. 1. 08:17

 삼성각 (三聖閣)
사찰에서 산신(山神)·칠성(七星)·독성(獨聖)을 함께 모시는 당우

 

삼성 신앙은 불교가 한국 사회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토속신앙이 불교와 합쳐져 생긴 신앙 형태이다.

전각은 보통 사찰 뒤쪽에 자리하며, 각 신앙의 존상과 탱화를 모신다.

삼성을 따로 모실 경우에는 산신각·독성각·칠성각 등의 전각 명칭을 붙인다.


▒ 산신(山神)

한국의 토속신 산신령에 해당하는 호법선신으로 산신이라는 인격신과 화신인 호랑이로 나타난다.

인격신으로서의 산신은 나이 든 도사의 모습이고, 호랑이는 대부분 산에 위치한 사찰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독성(獨聖)

천태산(天泰山)에서 홀로 선정을 닦아 독성(獨聖)·독수성(獨修聖)이라 불린 나반존자(那畔尊子)를 일컫는다.

독성탱화의 그림은 천태산과 소나무·구름 등을 배경으로 희고 긴 눈썹을 드리운 비구가

오른손에는 석장(錫杖), 왼손에는 염주 또는 불로초를 들고 반석 위에 정좌한 모습이다.

때로는 독성 외에 차를 달이는 동자가 등장하기도 하고 동자와 문신(文臣)이 양쪽 협시로 그려지는 경우도 있다.

※독성 - 나반존자인가, 빈두루존자인가? http://cafe.daum.net/santam/IZ0A/108


▒ 칠성(七星)

칠성은 수명장수신(壽命長壽神)으로 일컬어지는 북두칠성을 뜻하며, 본래 중국의 도교사상과 불교가 융합되어 생긴 신앙이다.

대개는 손에 금륜을 든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를 주존으로 하여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에 협시로 둔다.

 

 

관악산 불성사 삼성각 

 

해운사 삼성각

 

치성광여래

 

출처 : 불교는 행복찾기
글쓴이 : 햇빛엽서 원글보기
메모 :